6. ICMP(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)
1. 정의
- 운영체제에서 오류 메시지를 전송받는데 쓰이는 인터넷 프로토콜, 프로토콜 번호 1번
- IP계층의 일부
2. 헤더구조
- 4바이트의 공통 헤더라는 3개의 필드로 시작됨
Type - 8비트, 256개의 메세지 유형이 가능
0~127 : ICMP오류 보고 메세지
128~255 : ICMP정보성 메세지
Code - 8비트 각메세지 유형 마다 추가적인 세부정보
Checksum - 16비트 검사합
3. 기능
- 에러보고기능
- 혼잡제어기능
- 도착가능 검사기능
- 두 노드간에 트러블 슈팅 지원 * 트러블 슈팅 :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들을 종합적으로 진단해 처리
- TTL지원
4. 에러메시지(IPv4기준)
- Type 3 : Destination Unreachable(목적지 도달 불가)
- Type 4 : Source Quench(발신억제)
- Type 5 : Redirect(재지정)
- Type 11 : Time Exceeded(시간 초과 : 패킷이 루프를 돌거나, 과밀발생, 타이머 값이 낮게 설정)
- Type 12 : Parameter Problem(매개변수 문제)
5. 질의 메시지(IPv4기준)
- Type 0, 8 : Echo Request(type8), echo Reply(type :0)
ping 명령어가 이 두개를 조합하여 활용
* ping : 특정한 호스트가 도달할 수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 하는데 쓰이는 컴퓨터 네트워크 도구
icmp sw로도 전송 가능
네트워크의 고장 여부를 체크
- Type 13, 14 : Timestamp Request(type13) Timestamp Reply(type14)
ICMP 질의 메세지가 두 시스템 간 왕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또는 시간차
- Type17, 18 : Address Mask Request(type 17) Address Mask Reply(type18)
서브넷 마스크를 얻는데 사용 * 서브넷 마스크 : 서브 네트워크를 만들기 위해 AND비트 연산에 의해 씌우는 마스크
출처
-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- ICMP
- https://blog.naver.com/sunchan683/221424887933
- 위키백과 - ICMP
- 네이버 지식백과 - 트러블 슈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