초보 dogfootruler

1. 운영체제 - 선점스케줄링 - RoundRobin(라운드로빈) 본문

CertificationRoom;/정보처리기사;

1. 운영체제 - 선점스케줄링 - RoundRobin(라운드로빈)

킹갓우부 2019. 1. 19. 16:47

1. 정의 

 - 시분할 시스템을 위해 고안된 방식 FCFS알고리즘 선점 형태로 변형한 기법입니다.




2. 특징

 - 가장 먼저 들어온 프로세스가 할당받은 시간(Time Slice, QuanTum)에만 실행 후 다음프로세스가 시간을 할당받음

 - 할당되는 시간이 클 경우 FCFS와 비슷

 - 시간이 작을 경우 문맥 교환 및 오버헤드 자주 발생




3. 반환시간 및 대기시간

 - 반환시간 = 작업완료시간 - 도착시간

 - 대기시간 = 마지막 작업 시작시간 - 이미 처리한 시간 - 도착시간



4. 시험문제


2018년 8월 19일 정보처리기사 - 운영체제

41. 준비 큐에 프로세스 A, B, C가 차례로 도착하였다. 라운드 로빈으로 스케줄링할 때 타임 슬라이스를 4초로 한다면 평균 반환 시간은?

프로세스 

 A

B

C

실행시간 

 17



 A

4

8

12 

16 

17 

21 

25 

26


A의 반환시간 : 26-0 = 26 

B의 반환시간 : 8-0=8

C의 반환시간 : 17-0=17

평균반환시간 : (26+8+17)/3 = 17입니다.



2017년 3월 5일 정보처리기사 - 운영체제

53. 라운드로빈 정책을 사용하여 스케줄링 할 경우 평균 반환시간을 계산한 결과로 옳은 것은? (, 작업할당 시간은 4시간으로 한다.)

작업 

제출시간 

실행시간 

Task1 

Task2 

1

Task3

Task4



4

 8

12 

16 

20 

24 

25 

26 


A의 반환시간 : 20-0=20

B의 반환시간 : 8-1=7

C의 반환시간 : 26-2=24

D의 반환시간 : 25-3=22

평균반환시간 : (20+7+24+22)/4=18.25



2016년 8월 21일 정보처리기사 - 운영체제

47. 스케줄링 방식 중 라운드 로빈 방식에서 시간간격을 무한히 크게 하면 어떤 방식과 동일하게 되는가?

 - 시간간격을 무한히 크게하면, 들어오는 순서대로 처리하므로 FIFO(FCFS)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된다.



2016년 5월 8일 정보처리기사 - 운영체제

46. RR(Round-Robin) 스케줄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

“(대기시간서비스시간)/서비스시간의 계산으로 우선순위를 처리한다.

시간 할당이 작아지면 프로세스 문맥 교환이 자주 일어난다.

Time Sharing System을 위해 고안된 방식이다.

시간 할당이 커지면 FCFS 스케줄링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.


 - 1. 들어오는 순서대로 프로세스를 처리한다.

 


라운드 로빈 방식은 정보처리기사에 꼭 나오는 선점스케줄링 기법중 하나입니다.

최근 3년간의 문제를 보았을 때, 라운드 로빈에서만 1년에 1~2번 나오는 중요한 문제입니다

특징 및 계산문제가 나올수 있으므로, 준비가 필요해 보입니다.




출처 및 참고

 - 정보처리기사 문제

 - https://cafe.naver.com/sknou/395

 - 네이버 / 컴퓨터인터넷용어대사전






Comments